카테고리 없음

유명한 기자 그릇 명조庚 壬 辛 癸 壬 (乾命 48세)子 子 酉 丑 子 (공망:寅卯,寅卯)72 62 52 42 32 22 12 2癸 甲 乙 丙 丁 戊 己 庚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금수(金水)로만 짜여져선 차겁기 그지없다乙丁..

승채선 규경덕 2020. 11. 27. 02:38

유명한 기자 그릇 명조

庚 壬 辛 癸 壬 (乾命 48세)

子 子 酉 丑 子 (공망:寅卯,寅卯)

72 62 52 42 32 22 12 2

癸 甲 乙 丙 丁 戊 己 庚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금수(金水)로만 짜여져선 차겁기 그지없다

乙丁丙戊

丑丑辰子 명조 육합이다

사자성어 오자성어

공자 맹자 순자 열자 경자 임자 신문사 丑中 己字가 들어선 기자라 하는 취 지

 

속내용을 상징하는 음력 음양 대칭 명조를 본다면

庚 丁 辛 癸 壬 (乾命 48세)

子 丑 酉 丑 子 (공망:申酉,寅卯)

80 70 60 50 40 30 20 10

癸 甲 乙 丙 丁 戊 己 庚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이런데 임자합 정축이 들어와선 있어선 오자성어 말을 이어본다면 충정도 말로 되는데

子 丑 酉 丑 子 오른쪽서 부터 왼쪽으로 읽어보면 丑中 己字로 읽어선 자기유 기자, 그러니깐 “이사람 저기유 기자라요” 이런 뜻이 된다

전북 고창 사람이다

庚 壬 辛 癸 壬 (乾命 48세)

子 子 酉 丑 子 (공망:寅卯,寅卯) 신임계 인중(人中)삼기(三奇)가 들어선 귀한 축에 들어가는 명조다

사주를 볼적에 제일 먼저 보는 것이 삼기(三奇)다

기문학에서 신임계(辛壬癸)를 사용한다

육갑이 연이어지는 명조가 길함을 상징하는데 천간이 경신임계로 이어진다

수리 2079 교련(巧連)

 

143, 千辛刺腹(천신자복)

천가지매운것이배를 찌른다

144, 百酸攪腸(백산교장)

백가지 신 것이 창자를 뒤흔든다

145, 寸步難行(촌보난행)

촌보도 행하기 어렵다

일천개의 신(辛)이 현침살이 되선 배를 찌르는 형국을 지나놓고 보니

백가지 시거운 것이 창자를 휘젓다

월령(月令)에 신유(辛酉)가 들은 것은 그런 역할을 한다는 거다

백(百)= 한결같이 명백하다 명백은 중국뜻으로 “잘 알아 들었읍니다” 잘 알겠읍니다 이런뜻 임

산(酸)=유(酉)윤(允)복(攴)이나 지(支) 합성어(合成語) 그러니깐 지지(地支)에 유(酉)가 당도(當到)했다

교(攪)=어지럽힌다 휘젓다 뒤썩다 물소리 뜻이지만 수(手)와 각(覺)의 합성어 그러니깐 손으로 가리키듯 보고 깨달으라

장(腸)=뜻은 장차 마음 충심 자세하다 이렇치만

월(月) 볕양[태양] 昜쉬울이 역(易) 그 중심 일(一) 합성어(合成語) 그러니깐 월령(月令)을 유(酉)로 첸지 시켜 본다

百酸攪腸=우(右)로부터 좌(左)로 새겨 읽는 것

월령을 바꿀것 같음 손으로 제시하듯 깨달으라 하건데 닭구유자가 지지에 당도한것 한결같이 명백하고나 “네 잘알아들었읍니다” 이렇게 풀리는 거다 중국 발음으로는 예나 네가 아니고 “노”다 중국 드라마에 보면 알아들었다고 대답하는 것 “노” 그런다

2079= 삼효동 대축괘 무대에 함괘 공연이 이뤄지는 걸 말하는 것

九三. 良馬逐. 利艱貞. 曰閑輿衞 利有攸往. 象曰. 利有攸往 上合志也.

대운이라하는 좋은 마(馬)를 타고 달린다 간(艱)=토끼와 개 묘술(卯戌)이 합화(合火)하여선 화기(火氣)를 보조하듯 하여 쭈욱 곧은 대로(大路)를 가듯 이롭고나

경기에 나가려면 틈틈이 여가를 이용하여선 연습을 열심히 한다면 그 목적한 것이 이롭게 될거다 이것은 상등으로 합격 하고자 하는 거다 금메달을 목에 걸리라

九三. 咸其股 執其隨 往吝. 象曰. 咸其股 亦不處也. 志在隨人 所執下也.

그젓갈다리가 음식을 잡으려하는교감이다 집히는대로 쫓을 것이라 튕기는 메끄러운 콩알이나 콩기름 바른 것 같은 것 알을 억지로 잡으려 들다간 튕겨져 나가듯 잡히질 않았선 창피하게 될거다

화두답이 이렇게되거든 ..

六三. 萃如嗟, 如无攸利. 往无咎 小吝. 象曰. 往无咎 上巽也.

축제 거릴 작만해놓고 같이 놀아줄 대상 없어선 탄식을 하는 것만 같다 이로울것 없는것 같지만 어떻게든 추진하려고 노력을 한다면 원하는 의도대로 될것이 소이 무구(无咎)=해탈 할 것이니

조금맣게 창피하리라

小吝 = 조금 움추려든 번데기를 키움 된다

소(小)= 세로다지 입에 부자형(父字形)귀두(龜頭)가 박히게 하려면 이런 뜻,

인(吝)= 문(文)은 여자(女字)와 통용되는 글자 입으로 오럴해라

이런취지

象曰. 往无咎 上巽也.

형상을갖고말해본다면 추진해가면의도대로되는데 왕(往)자축거리고 발을떼듯 차츰 주간하여감 무구(无咎)허물을 벗겨 없앤다 무슨 허물 움추려든 번데기 허물 벗겨 없애는 것 발기되는 거지...

上巽=여성상위(女性上位) 사공되 배를 모는 키잡이가 되려면 강쇠 연장을 위로 성장 시켜야지

책에보면 간단하게 축제 제사거릴 장만해놓고 탄식을한다 옆집 사내가 자기처와 축제하고 여벌로 와선 축제를 해준다 이런뜻 그럴 적엔 내가 잘한다고 리더 할게 아니라 우선 시든 것을 세우는것이 급선무다 이런 뜻

그러니깐 튕기고 리더 하려면 아무리 잘나보여도 사내들이 본처와 축제했으니 난 이제 크게 생각 없다 이런 식으로 누구 아무 사내도 같이 안놀아 준다는 뜻

이런데 이래 콧대 높이듯 튕기는 것, 처와 놀아난 사내 입장으로 억지로 잡으려 든다면 후줄 그레한 젓갈로 기름 바른 메끄러운 송편 잡을려 하는 거와 같아선 잘 안집히므로 되려 역시 잡으려는 인간도 창피하게 된다는 거다

응효를 본다면 함기보협설이니 웨딩마치 피로연에서 하객이 음식먹고 담소 꽃피우거나 함기매말야 클라이 막스후 후식을 먹는것 서로 입으로 애무를 깊이 한다는 취지다

고창군 풍수 말미잘이 너플 대는 모습 ,여성이 무도회에서 할옷을 입고 춤을 추는 모습 ,말미잘은 촉수에 독이 있어 쏘이면 매우 앞은데 ,우리나라 말씀이 통용되는 것 말미는 말씀하는 끝이고 잘은 그러니깐 말씀하는 말끝을 매듭을 잘 지으라 짓는다 그러니깐 말하는데는 귀재이다 소이 그러니깐 말잘하는 인물이 태어난다 그런 풍수다 ,그런 계통에 종사한다

상하면 풍수, 무슨 것을 상징하든 꺼꾸로 된것이거나 옆으로 누워 있는 것은 좋은 것만 아니다 옆으로 누었어 그러니깐 그림자이기 쉽다 위로 다리벌려 걸어가는 모습인데 바다쪽 으로 다리임 송곡리 저수지가 입으로 말하는 모습 머리고개를 상하로 내저으며 가는 모습인데 응대리 하장리쪽이 고개를 떨어트린 모습인데 큰저수지가 인어 아가씨를 물어 밷는 모습임, 인어 아가씨는 이쁜데 마녀한테 고운 목소리를 뺏기고선 사람이 되었다 나중에는 왕자한테 버림받아선 물거품이 되어갔다 세상사 인생 살고보면 물거품이라 할수도 있다

배움의 전당 전일 고둥학교 풍수가 명리와 아주 잘맞는다 년간 계생으로 서북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물이 흘러 돌아가는 모습 아닌가

삼청공원 녹지가 우마왕인데 홍해아 어머니 나찰녀머리를 입에물고 있는 그림 소가 입으로 머리끄덕을 입에 문 모습인데 자세히 본다면 자식하는 子 쥐 생김이다

누런 색갈 명륜동은 풍수는 생김 공자를 상징하는데 지금 공자가 나찰녀이기도 하지만 자기 부인 백어 어머니를 품엔 안고 소맷 자락을 길게 늘어트려선 경복궁 대궐 성상한테 절하는 모습임 그런데 거기 유교상징 성균관대가 있다

중앙중학교 쪽으로 긴소매 자락임